본문 바로가기
투자_주식 시작하기

주식 시장 관리제도(2): 변동성완화장치(VI), 프로그램매매

by 돈을버는정보 2023. 8. 18.

주식시장 관리제도, 변동성완화장치, VI, 프로그램매매
변동성완화장치(VI), 프로그램 매매

안녕하십니까 돈을 버는 정보, 돈버정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주식시장의 관리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매매하면서 자주 듣는 변동성완화장치(VI)와 프로그램 매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변동성완화장치(VI)

변동성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 VI)는 주가의 급변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가격안정화 장치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개별종목에 대해 일정한 가격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동됩니다.

급등락 하는 주가에 대해 단일가매매방식으로 매매체결시간을 지연시켜 급변의 사유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합니다.

단타매매를 좋아하는 분들은 VI에 걸린 종목을 투자하는 경우가 있지만, 중장기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분들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VI는 크게 동적 VI와 정적 VI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 동적 VI

정의 특정 호가에 의해 주가가 직전 체결가격보다 일정비율 이상 변동할 때 발동하는 VI
설명 코스피200종목은 3%, 일반종목은 6%가 발동기준입니다.
개별 종목 중에 호가창이 많이 비어있는 경우에 발동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A社는 평소에 거래량이 별로없음
2) A社의 호가창을 보니 -1% 가격에 100주 -7% 가격에 100주만 걸려 있음
3) A社 주식을 200주 보유하고 있던 투자자가 시장가로 200주를 매도
4) 순식간에 -7% 가격에 체결이 되며 동적 VI 발동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진행

  나. 정적 VI

정의 직전에 체결된 체결가격 기준으로 10% 이상 변동할 때 발동하는 VI
설명 일반적으로 주식매매시에 경험하게 되는 VI는 정적 VI입니다.
예시 1) S 전자의 시초가가 전일가 대비 1% 상승한 가격에서 시작
2) 장중에 S 전자에 대한 호재 뉴스 발표로 투자자들 매수 심리 폭발
3) S 전자의 주가가 11% 상승한 가격으로 매매가 체결될 경우 정적 VI 발동
→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진행

 

2. 프로그램 매매

프로그램매매는 시장분석, 투자타이밍, 주문제출 등의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거래기법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적으로 매수/매도 주문을 하도록 설정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이뤄지는 매매방식입니다.

프로그램 매매에는 크게 지수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가. 지수차익거래

정의 주식시장과 파생상품시장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매매기법
설명 코스피200지수 구성 종목과 코스피200지수 선물/옵션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매수/매도
주식시장과 파생상품시장 중 고평가된 쪽을 매도, 저평가된 쪽을 매수하여 이득을 취함

  나. 비차익거래

정의 동일인이 일시에 코스피지수 구성 종목 중 15종목 이상을 매수/매도하는 거래
설명 차익과는 상관없이 15개 이상의 종목을 묶어서 한번에 주문
ex)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등 15개 항목을 일괄로 매수

언젠가 한 번 파생상품시장(선물, 옵션)에 대해서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