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_주식 시작하기12 반드시 알아야 할 '재무제표' 읽는 법(1):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안녕하십니까 돈을 버는 정보, 돈버정입니다. 오늘은 내가 투자하고 싶은 회사가 있을 때, 투자 전 반드시 한 번은 확인해야 할 '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재무제표란 ? 재무제표는 한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의 회계를 적어 놓은 표입니다. 쉽게 말해, 한 해동안 회사가 돈을 얼마 벌었고 빚이 얼마나 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입니다. ◎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법 1.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 2. 증권사 HTS 또는 MTS에서 기업/재무정보 저희가 재무제표를 읽는 게 어려운 이유는 크게 2가지라고 생각합니다. ① 일상에서 쓰는 언어가 아닌 어려운 말로 쓰여있어서 익숙하지 않음 ② 재무제표 상의 용어의 정확한 뜻을 모르기 때문 저와 함께 공부하면서 투자하고 싶.. 2023. 8. 30. 주식 매도 후 출금은 언제부터? 즉시 인출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돈을 버는 정보, 돈버정입니다. 오늘은 주식매도 후 출금이 언제부터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저도 주식 초창기 시절에 급전이 필요하면 주식을 팔아서 쓰면 되겠다 생각하다가 바로 출금이 안돼서 곤란했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사전에 준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주식은 매도 후 3영업일(T+2) 뒤에 입금 주식은 매도 후 내 계좌에 입금되어 출금할 수 있는 시간까지 3 영업일이 소요됩니다. 영업일이란, 증권거래소가 개장해 매매가 이뤄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월요일에 매도한 경우 수요일에 출금이 가능합니다. 1영업일(T) 2영업일(T+1) 3영업일(T+2)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 T는 거래일(Transaction date)을 의미합니다. 또한, 금요일에 매도한 경우에는 화.. 2023. 8. 30. 주식 시장 관리제도(3): 공매도 완벽 정리(개인이 공매도 하는 방법) 안녕하십니까 돈을 버는 정보, 돈버정입니다. 오늘은 주식 시장 관리제도 3번째 시간은 공매도입니다. 주식매매를 하시면서 공매도는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모르면 안 될 공매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공매도 정의 공매도는 영어로는 Short Selling, 한자로는 空賣渡로 표기합니다. 空이 빌 공으로 쓰기 때문에, 공매도는 소유하지 않은 주식을 매도한다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매도의 역할은 크게 보면 두 가지라 볼 수 있겠습니다. ① 주식시장에 추가적인 유동성 공급 ② 부정적인 정보가 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 주가버블 형성을 방지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의 승계 시 상속세, 증여세 회피를 위해 공매도로 주가를 고의로 떨어뜨리는 용도로 활용된다는 안 좋은 인식도 있습니다. 따라서, .. 2023. 8. 27. 주식 시장 관리제도(2): 변동성완화장치(VI), 프로그램매매 안녕하십니까 돈을 버는 정보, 돈버정입니다.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주식시장의 관리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매매하면서 자주 듣는 변동성완화장치(VI)와 프로그램 매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변동성완화장치(VI) 변동성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 VI)는 주가의 급변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가격안정화 장치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개별종목에 대해 일정한 가격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동됩니다. 급등락 하는 주가에 대해 단일가매매방식으로 매매체결시간을 지연시켜 급변의 사유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합니다. 단타매매를 좋아하는 분들은 VI에 걸린 종목을 투자하는 경우가 있지만, 중장기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분들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VI.. 2023. 8. 18. 주식 시장 관리제도(1): 주식시장의 매매거래 정지(서킷브레이커) 안녕하십니까 돈을 버는 정보, 돈버정입니다. 오늘부터 주식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은 자본주의의 꽃이라 불릴 만큼, 다양하고 정교하기 때문에 정부에서 공평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알아볼 제도는 주식시장의 매매거래 정지(CB)입니다. 1. 서킷브레이커(CB) 주식시장이 멈춘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상황이라는 뜻입니다.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s, CB) 제도는 급격히 악화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서킷브레이커는 회로 차단기에서 유래한 용어이며, 1987년 10월 뉴욕증시가 대폭락 한 '블랙먼데이' 이후 주식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되었습니다. 국내에.. 2023. 8. 17. 이전 1 2 3 다음